게임/짧은 게임 글

다키스트 오마쥬 팬 게임. 왁키스트 던전.

상처자국 2024. 12. 13. 14:59

무료겜 / 안드로이드 가능.

 

 여러번의 도전 끝에 최고 난이도 클리어.

스트리머 팬 게임 임에도 불구하고 상당한 퀄리티의 게임성을 가졌습니다.

 

 다키스트 던전에서 전투 이외의 모든 부분을 제외했고

전투 면에서는 훨신 캐주얼한 접근성을 가졌다는 점이 차이점.

 

 단적으로 전투 스킬 사용시 위치에 대한 제약이 없고 (공격 불가 대신 데미지에 차감을 뒀음)

 한 번의 진입으로 최종전까지 이어지며

가는 도중 새로운 스킬 / 장비 장착으로 케릭터를 완성하게끔 했습니다.

 

이하는 플레이 소감.

 

 

***

 

일반 난이도만 하더라도 적당히 도전적이라 재미지게 할만 하고,

최고 난이도는 꽤 머리를 쓰게끔 만들었습니다.

 

클리어 맴버는

 

  • 아이네 (탱커 / 딜러 / 디버퍼)
  • 징버거 (힐러)
  • 고세구 (딜러 / 디버퍼)
  • 우왁굳 (버퍼)

 

유지력에 초점을 둔 맴버만 4명이라 다소 방어적으로, 지극히 안정적으로 깼습니다.

안정성 위주라 이 멤버만 맞추면 최고 난이도도 대부분 클리어 가능할 거 같아요.

 

유지력이 오버차지라 후반으로 갈수록 공격력이 아쉬웠습니다.

(초반은 편했습니다.)

다음 번엔 좀 더 공격적인 조합으로 가보고자 합니다.

 

 

***

 

최고 난이도 케릭터별 소감

 

  • 아이네.

신.  최고 존엄. 

 

반격기 스택이 쌓인 아이네는 탱을 하면서 적을 다 씹어먹습니다.

맞은 만큼 두들겨 패서 풀피를 체우는 괴물.

 

추천옵션 : 체력

(반격기는 고정뎀이라 공격력이 필요 없음)

 

극도의 만능 케릭터.

적의 강공격이나 광역기 앞에서는 실명 (데미지 70% 감소) 디버프를 걸어주고

다단히트 상대로는 반격 잡아놓고 대기하면 살살 녹고

실드로 웅크리는 녀석들에겐 방어 불가 디버프까지.

 

(방어 불가 디버프의 경우 고세구가 가진 것이 효율이 더 좋습니다.)

 

 

  • 징버거

단점 없는 유지력.

 

광역기 상대로는 광역 실드 + 광역 힐

단일기 상대로는 단일 실드 + 단일 힐

디버프 상대로는 힐 + 디버프 해제.

 

추천 옵션 :  1순위 방어력. 2순위 공격력

방어력은 방어막 - 힐에 필수적이고,

공격력은 데미지 만큼 실드 주는 스킬로 광역 실드 - 광역 힐 연계가 가능합니다.

 

 

  • 고세구

세구 대신 주르르를 들고 갔다가 스킬 가챠가 완전 망하는 바람에

 3스테이지 보스전까지 힐 스킬이 안나온 적이 있습니다..

고세구도 힐스킬을 보유하고 있으므로 징버거만 들고 갔을 때 대비 리스크가 감소함.

 

최고 난이도에서는 디버프가 정말 안박히므로 눈물이 앞을 가리는 케릭터.

저항 감소를 먼저 박고

- 감염 스택을 쌓은 다음

- 디버프 3배 계왕권으로 왕귀하면 홀몸으로도 보스딜 기여 1순위가 가능합니다.

 

 

  • 우왁굳

솔로 탱거로서 만능, 서브로도 안정성에 기여.

 

초반에는 아이네와 위치를 바꿔가며 1선을 안정적으로 유지하는데 썼으나

아이네가 반격을 든 이후로는 점점점 뒤로 밀리다

마침내는 후열에서 철갑만 계속 걸어주게 된 비운의 케릭터..

 

가장 높은 수치의 실드 부여,

실드를 지속적으로 걸어주는 철갑 버프 스킬 (극도의 안정성)

진형 붕괴 상황에서도 유용.

 

3스테이지까지 힐 스킬 없이 갈 수 있었던 것도 왁굳의 실드 덕분이었죠.

결국엔 안 떠서 망했지만.

 

***

 

2층 이후 탐험가(서포터)는 풍신으로 클리어 했습니다.

(방어력 +1, 속도 +1)

 

실드 위주 조합인데

방어력 올려주는 스킬이라 무난하게 안정적이었어요.

 

 

써보고 싶었던 것은

 

덕수 할아바이 (랜덤한 스킬 +1)

독고혜지 (스킬 최대랩 +1)

 

등이었는데, 이건 디버퍼 조합 도전할 때 노려봐야겠네요.

 

 

***

 

 

재밌게 즐겼고 조금 더 해볼 생각입니다.

최고 난이도 깨면 아이네 스킨 생긴다고 들었는데

 

 

폰 버젼은 바꾸는 곳이 없는 거 같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