멋진 지형에서 플레이 하기.
가장 쉬운 방법은
바로 이 Geological Landforms 모드를 이용해
게임을 바로 시작하는 것입니다.
하지만 여기서 바로 시작하면 조금 아쉽죠.
약간 더 원하는 쪽으로 커스터마이징 하는 법을 살펴 볼 겁니다!
모드 목록은 보시는 분의 편의를 위하여 가장 아랫 줄에 한번 더 첨부.
먼저 월드의 사이즈를 정해봅시다.
[My Little Planet] 모드.
단순히 대륙 크기가 아니라, 행성 크기 자체를 줄이는 모드에요.
보통 크기 맵에서는 세력들의 정착지가 여러개 나오지만,
가장 작은 크기로 하면 각 세력별로 정착지가 1개씩만 생성됩니다.
정착지가 적다 > 성능 향상.
월드가 작다 > 이웃집 방문이 빨라진다. 다양한 기후가 가까이 생성된다.
플레이 영역 = 대륙 크기
Planet size = 행성 크기
***
자, 이제 원하는 지형을 골라 착륙을 해 보려는데,
생성될 맵의 모양을 미리 알면 좋겠죠?
[Map Preview] 모드.
생성되는 맵을 미리보기 할 수 있다.
리롤 (맵 다시 생성) 기능도 있어 편리합니다. 손도 깔끔!
주사위 모양의 아이콘을 누르면 같은 지형에서 시드만 변경하여 생성.
***
착륙할 지점이 어찌 생겼는지도 알았겠다.
새로운 거처가 될 장소를 선정해 봅시다.
[Geological Landforms] 모드.
다채로운 형태의 지형들을 추가해줍니다.
산 사이에 낀 협곡에서 관문을 만들거나,
산맥에 둘러쌓인 고독한 왕국을 만들 수 있다!
오늘의 강의는 여기까지.
이제 여러분은 아무것도 안 적힌 이 아래는 보지 말고
새로운 땅을 찾아 즐거운 림월드를 하러 가시면 됩니다!
*** 주의!! 심화편. ***
하지만
만약에.. 만약에 여기서 조금 더 손질을 해보고 싶다면?
그런 충동이 들었다면..?
[WorldEdit 2.0]
월드 자체를 편집 할 수 있는 모드.
아아.. 그렇다!
나야말로 신과 같은 시선에 서 있는 자!
세계를 내가 원하는 형태로 조형하겠다!
월드맵 화면에서 F1 ~ F7 키를 눌러 모드를 발동한다.
F1 = 지형과 기후 수정
F2 = 강 수정
F3 = 도로 수정
이후의 기능은 몰라도 좋다.
지형 이름 생성, 팩션 생성, 정착지 생성 등인데,
이걸 다 설명했다간 이 글을 아무도 안보고 도망갈 것이 분명하다.
가장 윗줄부터.
1.
-Refresh all layers : 월드맵 화면을 새로고침 한다.
에디터로 지형을 수정하고 -> 그 이후 고쳐진 지형을 깔끔하게 보기 위해서 사용.
2.
-Biome : 기후를 설정한다.
-Mounta : 언덕을 설정한다.
북극에 온대림을 만들고, 사막에 호수를 만들 수 있다.
원하는 옵션을 고르고, 월드맵 화면을 우클릭하면 해당 타일이 변경된다.
3.
-Temperature : 평균 온도를 설정한다.
19도 정도로 맞추면 재배 가능 일수가 크게 늘어난다.
극지대일수록 온도차가 크기 때문에
어설프게 중간 온도로 맞추면 한파랑 폭염이 동시에 터지는 지옥이 발생된다.
-Rainfall : 비의 양.
비가 너무 자주 오면 화면이 컴컴해서 기분이 다운되니 조절해주자.
-Swampiness : 늪지대의 양.
3번 항목의 경우에는 원하는 값을 입력하고,
각 항목 바로 아래에 있는
Tile Editor Window Enable 항목을 체크 한 다음 우클릭해야 변경이 된다.
강을 추가하는 법은 이렇다.
1. 원하는 타일을 클릭
2. River types에서 강의 타입을 선택.
3. Create source(수원지 만들기)를 누르고 타일과 인접한 수원지(호수, 바다)를 선택.
작은 강줄기가 호수에서 빼꼼 나오게 되고,
이후엔 그 타일에서 원하는 타일로 우클릭해서 이어주면 된다.
가장 아래에 Delete mode로
클릭-우클릭한 공간 사이에 있는 강을 삭제하는 것도 가능하다.
***
이제 대망의 마지막 모드.
[Map Designer] 모드다.
https://steamcommunity.com/sharedfiles/filedetails/?id=2111424996
Steam Workshop::Map Designer
steamcommunity.com
이건 모드 페이지에 정말 자세한 움짤이 있다.
보면 느낌이 확 올것.
1. 가장 아래, 중심 이동 기능을 이용해
[ㅡ ]모양이던 언덕을 [ / ] 모양으로 고치고,
2. 중앙 언덕 분포 비율을
가장자리로 밀어버려서 가운데 공간을 확보했다.
마지막으로 깔끔한 공간 확보를 위해
3. 중앙 부분 분할 기능을 이용해
[↖] 방향으로 빈 공간 보정을 줘서
[ / ] 모양으로 두껍게 쌓여있던 언덕을 깎아줬다.
사실 3번은 안해도 된다.
이상 강의 끝!
이제 각종 기능을 이용해 나만의 월드를 만들어 봅시다.
언급된 모드 리스트.
1. My Little Planet
2. Map Preview
3. Geological Landforms
4. WorldEdit 2.0
5. Map Designer
'게임 > 림월드' 카테고리의 다른 글
림월드 1.4 플레이 일지 (2) 제국의 잡부 (4) | 2023.03.27 |
---|---|
림월드 1.4 플레이 일지 (1) 순애 엔딩 (19) | 2023.03.27 |
림월드 1.3 플레이 일지 (10) 곤충 일기 (8) | 2022.05.11 |
림월드 1.3 플레이 일지 (9) 위버 라이즈 (28) | 2022.05.04 |
림월드 1.3 플레이 일지 (8) 이웃집 방문은 신중하게 (2) | 2022.05.02 |